728x90
반응형
SMALL
처서란 무엇인가? 24절기의 의미와 특징
처서는 24절기 중 열네 번째 절기로, 양력 8월 23일 무렵, 음력 7월 15일 무렵 이후에 들어오는 절기입니다. 처서란 한자로는 處暑라고 쓰며, '더위가 그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름 풀이처럼 처서가 되면 그 해의 무더웠던 여름이 고개를 숙이고, 선선한 바람이 부는 가을을 맞이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처서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처서와 관련된 속담과 문화를 알아보겠습니다.
처서의 의미와 특징
처서는 태양의 황경이 150도가 되는 날로, 태양의 위치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눈 것을 절기라고 합니다. 처서는 여름과 가을의 경계에 해당하는 절기로, 여름이 지나고 시원한 가을을 맞이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처서가 되면 낮은 짧아지고 밤은 길어지며, 기온과 습도가 낮아지기 시작합니다. 또한, 처서가 되면 곡식과 과일들이 잘 익어 수확을 준비하기도 합니다.
처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처서는 2021년에는 8월 23일에 들어왔으며, 매년 정확한 날짜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처서는 여름철에 쌓인 열기가 한풀 꺾이면서, 청량감을 느낄 수 있는 절기입니다.
- 처서는 모기와 같은 해충들이 사라지기 시작하는 절기로, '처서만 지나면 모기입도 삐뚤어진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 처서는 과일과 채소들이 잘 익어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절기로, 수박, 복숭아, 포도, 배 등 다양한 과일들을 즐길 수 있습니다.
- 처서는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가을꽃들이 피기 시작하고 단풍이 변하기 시작합니다.
처서와 관련된 속담과 문화
처서와 관련된 속담과 문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처서만 지나면 모기입도 삐뚤어진다’라는 속담은 처서가 되면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모기들이 사라진다는 뜻입니다. 모기입은 모기가 물린 자국을 의미하며, 삐뚤어진다는 것은 흉하게 생겼다는 것입니다. 이 속담은 모기뿐만 아니라 여름철에 번거로웠던 일들이 다 사라진다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 '처서밥’이라는 말은 처서에 드리운 밥을 의미합니다. 처서밥은 곡식과 과일들이 잘 익어 수확하기 좋은 때에 드리운 밥으로, 예로부터 풍년을 기원하고 감사하는 의미로 처서에 드리운 밥을 먹었다고 합니다. 처서밥은 백미와 콩, 밤, 대추, 호박 등을 넣어서 끓인 밥으로, 영양가가 높고 맛있습니다.
- '처서놀이’라는 말은 처서에 하는 놀이를 의미합니다. 처서놀이는 여름의 더위를 이겨내고 가을을 맞이하는 즐거움을 표현하는 놀이로, 예로부터 다양한 지역에서 행해왔습니다. 처서놀이는 지역마다 다르지만, 대표적으로는 탈춤, 강강술래, 씨름, 장기 등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