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행동경제학이란 무엇인가?
행동경제학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심리적, 사회적, 감정적 요인들이 경제적 행동과 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행동경제학은 주류경제학의 '합리적인 인간’이라는 가정을 부정하고,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 편향, 휴리스틱 등을 고려하여 더 현실적이고 정확한 경제모형을 만들고자 합니다.
행동경제학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합니다.
- 행동경제학은 실제 인간의 행동을 관찰하고 실험하므로, 경제학의 실증적 증거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행동경제학은 소비자의 선택, 투자자의 행태, 기업의 전략 등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비이성적인 행동을 이해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편향을 극복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돕고, 사회적 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적 제안을 할 수 있습니다.
- 행동경제학은 경제학과 다른 학문들과의 융합을 촉진합니다. 예를 들어, 행동경제학은 심리학, 신경과학, 사회학, 법학, 정치학 등과의 교류를 통해, 인간의 행동과 사회현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행동경제학의 주요 개념과 사례
행동경제학에서는 인간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개념과 사례를 연구합니다. 여기서는 행동경제학의 주요 개념과 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
- 휴리스틱: 휴리스틱은 인간이 불충분한 정보나 시간으로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규칙이나 방법입니다. 휴리스틱은 인간의 판단을 쉽고 빠르게 하지만, 때로는 오류나 편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용성 휴리스틱은 최근에 발생했거나 기억에 잘 남는 사례를 바탕으로 확률이나 빈도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는 실제 확률이나 빈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행기 사고가 뉴스에 자주 보이면 비행기가 위험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자동차 사고가 훨씬 더 많이 발생합니다.
- 편향: 편향은 인간의 판단이나 행동이 특정한 방향으로 치우치거나 왜곡되는 현상입니다. 편향은 휴리스틱이나 감정, 사회적 영향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확증편향은 자신의 믿음이나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만을 찾고, 반대되는 증거는 무시하거나 왜곡하는 것입니다. 이는 자신의 믿음이나 가설을 비판적으로 검증하지 못하고, 오류나 편견을 갖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치적 성향이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정보를 믿지 않고, 자신의 성향과 일치하는 사람의 의견이나 정보만을 신뢰하는 것입니다.
- 심적 회계: 심적 회계는 인간이 동일한 금액의 돈이라도 다른 계좌나 목적에 따라 다르게 취급하거나 지출하는 현상입니다. 심적 회계는 인간의 돈에 대한 인식과 감정을 반영합니다. 예를 들어, 월급이나 상여금은 고정적이고 예상할 수 있는 수입이므로 저축하거나 투자하는 데 사용하고, 복권이나 상품권은 예상하지 못한 수입이므로 소비하는 데 사용하는 것입니다. 또한, 동일한 금액의 손실이라도 다른 원인에 따라 다르게 느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주식이나 부동산의 가격이 하락하여 손실을 보는 것은 인내하거나 감수할 수 있지만, 도둑에게 돈을 훔쳐가거나 사기를 당하는 것은 분노하거나 슬퍼하는 것입니다.
행동경제학과 주류경제학의 차이점
- 전제와 관점의 차이: 주류경제학은 경제 주체들이 합리적으로 행동하고 최적의 선택을 한다고 가정하는 전제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행동경제학은 경제 주체들이 종종 심리적, 인지적 제약으로 인해 합리적이지 않은 선택을 할 수 있다고 인식합니다.
- 결정 메커니즘 강조: 주류경제학은 시장의 균형과 경쟁에 의한 자원 할당을 강조합니다. 반면 행동경제학은 개인의 행동과 선택 과정을 연구하며, 이로 인한 시장의 비합리적인 결과에 대해 관심을 둡니다.
- 정책 적용: 행동경제학은 비합리적인 행동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해 정책적 개입을 고려합니다. 이에 비해 주류경제학은 시장의 자율적인 원리에 의존하여 정책 개입을 줄이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금리 변동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 (0) | 2023.12.16 |
---|---|
ASML이란 어떤 회사인가: 세계 반도체 산업의 선두주자 (0) | 2023.12.13 |
숏커버(short cover)란 무엇인가? (0) | 2023.11.30 |
슈링크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0) | 2023.11.17 |
발행어음 투자란 무엇인가? (0) | 2023.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