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교환사채란 무엇인가?
교환사채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특수한 종류의 채권입니다. 교환사채의 특징은 사채권자가 만기에 돈으로 상환받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미리 정해둔 다른 유가증권으로 교환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교환 대상이 되는 유가증권은 기업의 자사주일 수도 있고,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타사의 주식일 수도 있습니다. 교환사채는 영어로 Exchangeable Bond라고 하며, EB라고 줄여서 부릅니다.
교환사채의 장점과 단점
교환사채는 기업과 투자자 모두에게 장점과 단점이 있습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교환사채를 발행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낮은 이자율: 교환사채는 일반 채권보다 낮은 이자율로 발행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투자자들은 교환 가능성에 따른 추가적인 수익 기회를 갖기 때문에, 낮은 이자율을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부채 감소: 교환사채가 주식으로 전환이 되면, 기업의 부채가 감소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채권이 소멸되고, 대신 기업이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투자자에게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 주주 가치 보호: 교환사채는 전환사채나 신주인수권부사채와 달리 신규로 주식을 발행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존 주주의 지분이 희석되거나 투표권이 감소하는 일이 없습니다.
그러나 교환사채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습니다.
- 자산 감소: 교환사채가 주식으로 전환이 되면, 기업의 자산이 감소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기업이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투자자에게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 유동성 제한: 교환사채를 발행한 기업은 교환 대상이 되는 주식을 특정한 예탁기관에 예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그 주식을 현금화하거나 담보로 사용하기 어려워집니다.
- 영업외 손실: 교환 대상이 되는 주식의 가격이 상승하면, 기업은 그 주식을 매각하여 영업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됩니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교환사채를 구입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이자수익: 교환사채는 일반 채권처럼 만기까지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주식수익: 교환사채를 발행한 기업의 자사주나 타사주로 교환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주식 가격이 상승하면, 채권보다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리픽싱: 교환사채의 교환가격은 주식 가격이 하락하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이를 리픽싱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투자자는 더 많은 주식을 교환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교환사채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습니다.
- 교환비용: 교환사채를 주식으로 교환하려면, 일정한 수수료나 세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 교환위험: 교환사채를 발행한 기업의 주식 가격이 하락하면, 교환사채의 가치도 하락합니다. 또한, 교환 대상이 되는 주식이 상장폐지되거나 지배권이 변동되는 경우에도 교환사채의 가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조기상환: 교환사채를 발행한 기업은 특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채권을 조기에 상환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투자자는 원래 기대했던 수익을 얻지 못할 수 있습니다.
교환사채의 종류와 예시
교환사채는 교환 대상이 되는 유가증권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자사주교환사채: 채권을 발행한 기업의 자사주로 교환이 가능한 사채입니다. 예를 들어, 포스코가 최근에 발행한 그린본드 교환사채1는 자사주교환사채입니다.
- 타사주교환사채: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타사의 주식으로 교환이 가능한 사채입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2019년에 발행한 바이오로직스 주식교환사채2는 타사주교환사채입니다.
- 혼합교환사채: 채권을 발행한 기업의 자사주와 타사주 중에서 선택하여 교환이 가능한 사채입니다. 예를 들어, SK하이닉스가 2018년에 발행한 SK하이닉스 주식 또는 SK텔레콤 주식교환사채3는 혼합교환사채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보어드바이저란 무엇인가? (0) | 2023.08.28 |
---|---|
로렌츠 곡선이란 무엇인가? (0) | 2023.08.28 |
뮤추얼펀드란 무엇일까? (0) | 2023.08.27 |
역모기지론이란 무엇인가? (0) | 2023.08.27 |
이표채란 무엇인가? (0) | 202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