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용어

레버리지 효과란 무엇인가?

by Hangryguy 2023. 8. 28.
728x90
반응형
SMALL

레버리지 효과란 무엇인가?

 


레버리지 효과란, 적은 자기 자본에 타인의 자본을 빌려 투자를 하면 큰 수익을 만들 수 있다는 뜻입니다. 레버리지는 지렛대라는 뜻으로, 지렛대를 이용하면 힘을 적게 들이고도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투자에서도 자기 자본보다 큰 규모의 자산을 구입하거나 사업을 할 수 있으면, 수익률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레버리지 효과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효과 = 자산수익률/ 자기자본수익률

자산수익률은 전체 자산에 대한 수익률로, 영업이익을 전체 자산으로 나눈 값입니다. 자기자본수익률은 자기 자본에 대한 수익률로, 순이익을 자기 자본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공식에서 알 수 있듯이, 레버리지 효과는 1보다 크면 좋은 것이고, 1보다 작으면 나쁜 것입니다. 1보다 크다는 것은, 전체 자산에 대한 수익률이 자기 자본에 대한 수익률보다 크다는 것으로, 타인의 자본을 잘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했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1보다 작다는 것은, 전체 자산에 대한 수익률이 자기 자본에 대한 수익률보다 작다는 것으로, 타인의 자본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이자비용 등으로 손해를 보았다는 의미입니다.



레버리지 효과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레버리지 효과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적은 자기 자본으로도 큰 규모의 투자나 사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 점유율이나 규모의 경제 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타인의 자본을 활용하여 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주주들에게 더 많은 배당금이나 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게 합니다.
  • 차입금의 이자비용은 고정비로 인식되므로, 세금 감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순이익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레버리지 효과의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차입금의 이자비용이나 원금상환 등의 부채관리가 어려워집니다. 이는 재무위험을 증가시키고, 심각한 경우 파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시장 상황이나 사업 성과가 예상보다 나쁘게 되면, 수익률이 급격히 하락하거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주들에게 불안감이나 실망감을 줄 수 있습니다.
  • 차입금의 비중이 높아지면, 신용등급이 하락하거나 추가적인 차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는 자금조달의 유연성이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 효과를 활용하기 위한 팁은 무엇인가?

 


레버리지 효과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팁을 참고하면 좋습니다.

  • 차입금의 이자율보다 투자나 사업의 내부수익률이 높다고 판단되면, 차입금의 비중을 적절히 높여서 레버리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차입금의 이자율보다 투자나 사업의 내부수익률이 낮다고 판단되면, 차입금의 비중을 적절히 낮추어서 레버리지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자신이나 회사의 재무상태나 전략적 목표에 따라서, 적정한 레버리지 비율을 설정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너무 공격적이거나 보수적인 레버리지 비율은 장기적으로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 시장 상황이나 사업 성과에 따라서, 레버리지 비율을 유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계획이나 대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예기치 못한 위기나 기회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