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용어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무엇인가?

by Hangryguy 2023. 9. 7.
반응형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무엇인가?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는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과 자산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원리금상환비율(DSR)과 부채/자산비율(DTA)을 결합하여 산출됩니다. HDRI가 100을 초과하면 해당 가구는 부실위험에 처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HDRI는 가계의 금융안정성을 진단하고 정책결정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경제전반의 안정성을 예측하고 가계의 채무부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계부채 문제를 예방하고 적절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HDRI의 산출방법과 특징


HDRI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산출됩니다.

  • HDRI = [1+ (DSR-0.4)X {1+DTA-1)}]x100


DSR은 가계의 총부채 원리금 상환액이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DTA는 가계의 총부채가 가계의 보유자산 대비 얼마나 많은지를 나타냅니다.

HDRI는 DSR과 DTA가 각각 40%와 100% 일 때 100의 값을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표는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위험가구’로 분류합니다.

 


위험가구는 소득과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고위험가구’,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고 DTA가구’,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고 DSR가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험가구 및 고위험가구는 당장 채무상환 불이행이나 임계상황에 직면한 가구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가구의 채무상환 능력의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입니다.



HDRI의 최근동향과 분석


한국은행은 지난 2020년 11월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HDRI를 활용해 가계부채에 따른 위험가구를 집계하였습니다. 그 결과, HDRI가 100을 초과하는 위험가구는 전체 가구의 6.7%인 112만2천가구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고위험가구는 26만9천가구, 고 DTA가구는 49만8천가구, 고 DSR가구는 35만5천가구였습니다.

HDRI에 따른 위험가구 비중은 소득ㆍ자산 분위별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소득 하위 20% 분위에서는 위험가구 비중이 16.3%로 가장 높았으며, 자산 하위 20% 분위에서도 위험가구 비중이 14.9%로 높았습니다. 반면, 소득 상위 20% 분위에서는 위험가구 비중이 1.7%로 가장 낮았으며, 자산 상위 20% 분위에서도 위험가구 비중이 2.4%로 낮았습니다.

또한, HDRI에 따른 위험가구 비중은 종사상 지위별로도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임시ㆍ일용직 가구에서는 위험가구 비중이 14.9%로 가장 높았으며, 자영업자 가구에서도 위험가구 비중이 10.5%로 높았습니다. 반면, 정규직 가구에서는 위험가구 비중이 4.3%로 가장 낮았습니다.



HDRI의 정책적 시사점과 제언

 


HDRI를 통해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고 대응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과 제언이 있습니다.

  • HDRI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공개하여 가계의 금융안정성을 진단하고 예방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HDRI는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소득과 자산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지표로서, 경제전반의 안정성을 예측하고 적절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HDRI를 통해 취약계층의 부실위험을 파악하고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HDRI가 높은 소득ㆍ자산 하위 분위와 임시ㆍ일용직, 자영업자 등의 경제적 취약계층은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소득하락에 더욱 취약합니다. 이들에게는 단기적인 소득지원과 신용지원을 선별적으로 제공하여 유동성 위험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HDRI를 통해 부실위험에 따른 차등적인 신용지원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HDRI가 낮은 가구는 담보여력이 있는 자산을 보유하고 있거나 채무상환능력이 충분합니다. 이들에게는 신용 (담보대출 등)을 지원하는 것이 유동성 위험 완화와 재정절감 측면에서 효과적입니다. 반면, HDRI가 높은 가구는 담보여력이 없거나 채무상환능력이 부족합니다. 이들에게는 신용지원보다는 소득지원이 더욱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