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중앙예탁기관(CSD; Central Securities Depository)이란 무엇인가?
중앙예탁기관(CSD; Central Securities Depository)이란 증권예탁 업무를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예탁자 또는 예탁자의 고객으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증권을 집중 예탁받아 동 예탁증권에 대한 권리를 관리하는 증권예탁제도의 운영기관을 말합니다. CSD는 증권의 보관, 결제, 유통, 관리 등을 담당하며, 증권 시장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SD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 자산 보관 및 관리: CSD는 주식, 채권, 펀드 등 다양한 금융상품의 보유와 관리를 담당합니다. 각 거래자들은 CSD에 자신의 자산을 예탁함으로써 물리적인 증권 발행과 보관을 회피하고, 전자적으로 자산을 소유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 거래 정산: CSD는 거래의 정산과정에서 거래자들 간의 자산 이전을 원활하게 처리합니다. 거래가 성사된 후에는 CSD를 통해 증권의 소유권과 자금 이체 등이 이루어집니다.
- 분산형 시스템: CSD는 대부분 중앙집중형으로 운영되며, 중앙에서 보관 및 관리되는 자산은 각 거래자들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거래자들은 보통 자신의 증권을 직접 관리하거나 조회할 수 있습니다.
- 보증 역할: CSD는 거래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보증 기능을 수행합니다. 거래 과정에서 보증금이나 보장기금과 같은 보호장치를 운용하며, 시장 위험을 최소화하고 자산의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 정보 제공: CSD는 시장 참여자들에게 거래 데이터, 잔고 정보, 보유 증권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투명하고 효율적인 시장 운영을 지원합니다.
CSD는 금융 시장의 안정성과 투명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금융 기관들과 협력하여 증권의 전자화와 거래의 효율화를 도모하며, 투자자들의 자산 보호와 거래 환경의 안전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합니다.
CSD의 종류와 국제협력
CSD는 국가나 지역별로 운영되며, 주식거래소와 금융 기관들과 협력하여 금융 시장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CSD는 크게 다음과 같은 종류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 국가형 CSD: 국가별로 하나만 운영되는 CSD로서, 주로 주식과 채권 등 모든 종류의 증권을 예탁하고 정산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예탁결제원(KSD), 일본예탁결제기관(JASDEC), 미국예탁결제기관(DTC) 등이 있습니다.
- 지역형 CSD: 지역별로 여러 개 운영되는 CSD로서, 주로 특정 종류의 채권이나 특정 시장에 대한 예탁과 정산 업무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유럽의 유로클리어(Euroclear), 클리어스트림(Clearstream), 아시아의 아시아채권시장(ABM) 등이 있습니다.
- 국제형 CSD: 국가나 지역을 넘어서 다양한 증권을 예탁하고 정산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CSD로서, 주로 국제적인 금융 기관들이 이용합니다. 예를 들어, 국제증권결제기관(ICSD)인 유로클리어 뱅크(Euroclear Bank), 클리어스트림 뱅킹(Clearstream Banking) 등이 있습니다.
CSD는 서로 다른 국가나 지역의 금융 시장을 연결하고, 국제적인 증권 거래와 결제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CSD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국제협력을 수행합니다.
- 상호연계: 서로 다른 CSD간에 증권의 예탁과 정산을 위한 계좌를 개설하고, 증권의 이전과 자금의 이체를 실시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예탁결제원(KSD)과 일본예탁결제기관(JASDEC)은 2019년 11월부터 상호연계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증권 거래와 결제를 원활하게 하고 있습니다.
- 대리인 모델: 한 CSD가 다른 CSD의 대리인으로서 증권의 예탁과 정산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유로클리어 뱅크(Euroclear Bank)는 50여 개국의 CSD에 대해 대리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공동운영: 여러 CSD가 공동으로 증권의 예탁과 정산을 수행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는 2025년까지 23개국의 CSD가 참여하는 공동운영 플랫폼인 TARGET2-Securities(T2S)를 완성할 계획입니다.
CSD는 금융 시장의 핵심 인프라로서, 증권의 보관, 결제, 유통, 관리 등을 담당하며, 증권 시장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SD는 국가나 지역별로 운영되며, 서로 다른 CSD간에 상호연계, 대리인 모델, 공동운영 등의 방식으로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이란 무엇인가? (0) | 2023.09.07 |
---|---|
환매조건부매매(RP/Repo)란 무엇인가? (0) | 2023.09.07 |
분산원장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이란 무엇인가? (0) | 2023.09.07 |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무엇인가? (0) | 2023.09.07 |
범위의 경제란 무엇인가? (0)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