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정책 파급경로란 무엇인가?
통화정책이란 중앙은행이 통화량이나 금리에 영향을 미쳐 물가안정 및 금융안정 등 최종목표를 달성함으로써 경제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통화정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경로를 통해 실물경제에 파급됩니다.
금리경로
금리경로(interest rate channel)란 기준금리 변경이 단기시장금리, 장기시장금리, 은행 예금 및 대출 금리 등 금융시장의 금리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콜금리 등 단기시장금리는 즉시 상승하고 은행 예금 및 대출 금리도 대체로 상승하며 장기시장금리도 상승압력을 받습니다. 이러한 각종 금리의 움직임은 소비, 투자 등 총수요에 영향을 미칩니다. 금리 상승은 차입을 억제하고 저축을 늘리는 한편 예금이자 수입 증가와 대출이자 지급 증가를 통해 가계의 소비를 감소시킵니다. 기업의 경우에도 다른 조건이 동일할 경우 금리 상승은 금융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투자를 축소시킵니다.
자산가격경로
자산가격경로(asset price channel)란 기준금리 변경이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가격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상승하면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미래 수익의 현재가치가 낮아지게 되어 자산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이는 가계의 자산, 즉 부(wealth)의 감소로 이어져 가계소비의 감소 요인이 됩니다.
환율경로
환율경로(exchange rate channel)란 기준금리 변경이 환율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여타국의 금리가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우리나라의 금리가 상승할 경우 국내 원화표시 자산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해외자본이 유입될 것입니다. 이는 원화를 사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는 의미이므로 원화 가치의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원화 가치 상승은 원화표시 수입품 가격을 하락시켜 수입품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외화표시 수출품 가격을 상승시켜 우리나라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해외수요를 감소시킵니다.
신용경로
신용경로(credit channel)란 기준금리 변경이 은행의 대출태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상승할 경우 은행은 차주의 상환능력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이전보다 대출에 더 신중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은행대출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기업의 투자는 물론 대출자금을 활용한 가계의 소비도 위축시킵니다.
기대경로
기대경로(expectation channel)란 기준금리 변경이 일반의 기대인플레이션 변화를 통해서도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기대인플레이션을 하락시킵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제품가격 및 임금근로자의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실제 물가상승률을 하락시키게 됩니다.
'경제,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발부채란 무엇인가? (0) | 2023.09.10 |
---|---|
국제수지(BOP; Balance Of Payments)란 무엇인가? (0) | 2023.09.10 |
통화지표란 무엇인가? (0) | 2023.09.09 |
투입계수란 무엇인가? (0) | 2023.09.09 |
페더럴펀드란 무엇인가? (0) | 202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