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화뇌동(附和雷同) 유래, 뜻, 예문, 동의어, 반의어
부화뇌동(附和雷同) 유래, 뜻, 예문, 동의어, 반의어 부화뇌동의 유래 부화뇌동은 예기(禮記) 곡례편(曲禮篇) 상(上)과 논어(論語) 자로편(子路篇)에서 나온 고사성어입니다. 예기 곡례편 상에서는 공자가 제자들에게 너의 용모를 바르게 하고 말씀을 들을 때는 반드시 공손히 하라고 하면서, 다른 사람의 의견을 자신의 의견인 것처럼 말하지 말고, 다른 사람의 의견에 자기 생각 없이 무조건 동조하지 마라고 권고했습니다. 이때 사용된 문구가 '毋勦說 毋雷同’인데, 이것이 부화뇌동의 원문입니다. 논어 자로편에서는 공자가 군자는 화합하되, 뇌동하지 않으며, 소인은 뇌동할 뿐, 화합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이때 사용된 문구가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인데, 여기서도 뇌동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뇌동은 우레 소리에 맞..
2023.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