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용어

경기동향지수란 무엇인가?

by Hangryguy 2023. 9. 5.
728x90
반응형
SMALL

경기동향지수란 무엇인가?

 


경기동향지수(Diffusion Index)는 경기변동의 방향만을 파악하는 지수로, 경기확산지수라고도 합니다. 경기종합지수와는 다르게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방향만을 파악합니다. 이 지수가 50을 넘어가면 경기가 확장국면으로 들어선 것을 의미하고, 50 아래로 떨어지면 경기가 수축국면에, 50이면 경기 전환점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령 10개의 대표계열 중 5개의 지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나타나면 경기동향지수는 50으로 산출됩니다.



경기동향지수의 계산 방법


경기동향지수는 주로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경제 지표의 변동성과 성장률을 분석하여 이전의 경제 동향과 비교하고 예측 모델을 사용하여 미래의 경기 동향을 예측합니다. 이를 통해 경제가 성장할지, 침체할지, 또는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경기동향지수는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는 평균 주당노동시간, 신규 수주, 소비자 예상, 주택허가건수, 주식가격, 금리 스프레드 등을 포함한 10개의 선행지표를 조합하여 전체 경제의 건강도를 측정하는 OECD 경기선행지수(Composite Leading Indicators Index)를 발표합니다. 이 지수는 진폭조정 기준으로 100을 기준으로 하며, 이보다 높으면 경제가 확장되고 있고, 낮으면 경제가 수축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경기동향지수의 장단점


경기동향지수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기국면과 전환점을 판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 경기를 예측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부문별 데이터를 종합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경기동향지수의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기 변동속도를 정확히 보여줄 수 없습니다.
  • 개별경제지표들의 변화를 종합한 지표이기 때문에 왜곡될 수 있습니다.
  • 예측 모델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경기동향지수의 활용 방법


경기동향지수는 경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그러나 경기동향지수의 한계를 인식하고, 다른 지표와 함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경기동향지수가 50을 넘어가면 경기가 확장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지만, 이는 경기가 얼마나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알려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GDP 성장률이나 산업생산지수와 같은 지표를 함께 보면 경기의 성장 속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기동향지수는 예측 모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예측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검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