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용어

잠상(latent image)이란 무엇인가?

by Hangryguy 2023. 9. 12.
728x90
반응형
SMALL

잠상(latent image)이란 무엇인가?

 


잠상(latent image)이란 은행권 위조방지를 위한 장치의 하나로, 인쇄된 글자나 문양이 보통 상태에서는 잘 보이지 않으나, 보는 각도나 빛의 방향에 따라 보이는 장치를 말한다. 잠상은 정면에서 볼 때는 보이지 않지만, 은행권을 비스듬히 기울여 비춰봤을 때 숨겨놓은 문자나 문양이 나타나는 요판 인쇄기술의 하나다. 위조를 위해 복사를 해도 숨겨진 문자나 문양이 나타나지 않아 위조지폐인지 여부를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해준다.



잠상(latent image)의 종류와 특징

우리나라의 각 은행권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잠상이 적용되어 있다.

  • 오만원권: 은행권을 기울여보면 앞면 인물 그림 오른쪽에 있는 동그란 무늬 속에서 숫자 "5"가 나타난다.
  • 만원권, 오천원권, 천원권: 은행권을 기울여보면 앞면 하단에 띠 모양 안에 문자 "WON"이 나타난다.
 


잠상(latent image)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잠상은 볼록인쇄(intaglio printing)라는 특수한 인쇄기법으로 만들어진다. 볼록인쇄는 잉크가 쌓인 오톨도톨한 감촉을 느낄 수 있는 인쇄기법으로, 신사임당 초상, 월매도, 문자와 숫자 등에 적용되어 있다.
  • 잠상은 은행권 용지의 특정 부분의 두께와 밀도를 달리하여 만들어진다. 부분적으로 용지의 얇음과 두꺼움이 달라지게 되며, 이로 인해 빛의 투과정도가 달라져 빛에 비춰봤을 때 명암차이가 문양으로 드러나게 된다.
  • 잠상은 은행권을 복사하거나 스캔할 수 없다. 잠상은 용지의 두께와 밀도 차이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복사기나 스캐너로 재현할 수 없다. 따라서 잠상은 은행권 위조방지에 효과적인 장치로 사용된다.



잠상(latent image)의 역사와 발전

잠상(latent image)은 19세기 후반부터 독일에서 개발된 요판 인쇄기술의 일종으로, 처음에는 우표 등에 사용되었다. 20세기 초반부터는 은행권에도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까지 많은 국가에서 은행권 위조방지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잠상(latent image)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하였다. 예를 들어, 1980년대에는 색깔이 변하는 잠상(color-shifting latent image)이 개발되었으며, 1990년대에는 입체적인 잠상(stereoscopic latent image)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잠상은 보는 각도나 빛의 방향에 따라 색상이나 모양이 변하는 효과를 주어, 위조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잠상(latent image)의 장점과 단점

잠상(latent image)은 다음과 같은 장점과 단점을 가진다.

  • 장점: 잠상은 은행권을 복사하거나 스캔할 수 없으므로, 위조방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잠상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일반인들도 은행권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 단점: 잠상은 은행권을 기울여보거나 빛에 비춰보아야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나 조명 등의 환경에 따라 잠상이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잠상은 볼록인쇄와 용지의 두께와 밀도 차이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은행권의 품질이 저하되면 잠상이 희미해지거나 사라질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