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경제금융용어 감가상각이란 무엇인가?
감가상각이란 무엇인가?
감가상각이란 토지를 제외한 고정자산의 가치가 시간이나 사용정도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회계에 반영하는 절차입니다. 감가상각은 고정자산의 원가를 자산의 사용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배분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감가상각의 주된 목적은 원가의 배분과 세금의 절감입니다.
감가상각의 종류와 계산방법
감가상각의 종류에는 정액법, 정률법, 생산량비례법, 체감잔액법, 이중체감법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정액법과 정률법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각 방법의 특징과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액법
정액법은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매년 같은 감가상각액을 인식하는 방법입니다. 정액법은 매년 균등하게 비용처리를 할 수 있으며, 간단하고 명확한 방법입니다. 정액법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감가상각비= (취득원가−잔존가액)/내용연수
예를 들어, 1,000만원의 취득원가와 100만원의 잔존가액을 가진 자산이 5년의 내용연수를 가진다면, 정액법에 따른 연감가상각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연감가상각비= (1,000−100)/5= 180(단위: 만원)
정률법
정률법은 내용연수에 따라 상각률을 곱하여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정률법은 초기에 비용처리를 더 많이 할 수 있으며, 해가 지날수록 비용 처리 금액이 적어집니다. 정률법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감가상각비=미상각잔액×상각률
예를 들어, 1,000만원의 취득원가를 가진 자산이 5년의 내용연수를 가진다면, 정률법에 따른 연감가상각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상각률은 0.451로 가정합니다)
- 1년차 연감가상각비=1,000×0.451=451(단위: 만원)
- 2년차 연감가상각비=(1,000−451)×0.451=248(단위: 만원)
- 3년차 연감가상각비=(549−248)×0.451=136(단위: 만원)
- 4년차 연감가상각비=(301−136)×0.451=75(단위: 만원)
- 5년차 연감가상각비=(165−75)×0.451=41(단위: 만원)
감가상각의 장단점과 효과
장점
- 감가상각은 고정자산의 가치 감소를 공정하게 반영하여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은 고정자산의 원가를 생산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적절하게 배분하여 원가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은 순이익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와 세금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은 고정자산의 감가상각비를 자본적 지출로 인식하여 자본금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단점
- 감가상각은 고정자산의 실제 가치 감소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정자산의 수명이 예상보다 길거나 짧을 수 있고, 고정자산의 재판매 가격이 예상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은 감가상각방법에 따라 순이익이나 자산가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액법은 초기에 비용처리가 적고, 정률법은 초기에 비용처리가 많습니다. 따라서 감가상각방법의 선택이 회계정보의 해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은 고정자산의 구입과 관련된 비용을 모두 감가상각의 대상으로 삼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정자산의 설치비, 운반비, 보험료 등은 감가상각의 대상이 아니라 즉시 비용처리되어야 합니다.
감가상각의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감가상각은 고정자산의 감가상각비를 자본적 지출로 인식하여 자본금을 증가시키고, 자산의 가치를 감소시킵니다. 이는 자산대비 수익률을 높이고, 재무비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 감가상각은 순이익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와 세금부담을 감소시킵니다. 이는 기업의 현금흐름을 증가시키고, 재투자나 채무상환에 유리한 효과를 가집니다.
- 감가상각은 고정자산의 원가를 생산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적절하게 배분하여 원가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결정에 도움을 주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나노 경영(Nano Management)이란 무엇인가? (0) | 2024.01.12 |
---|---|
경제금융용어 감가상각비란 무엇인가? (0) | 2024.01.12 |
경제금융용어 가치사슬(Value Chain)이란 무엇인가? (0) | 2024.01.08 |
경제금융용어 가젤형기업(Gazelles Company)이란 무엇인가? (0) | 2024.01.08 |
경제금융용어 갈라파고스경제란 무엇인가? (0)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