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한계효용이란 무엇인가?
한계효용이란 경제학에서 소비자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으로,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추가로 소비할 때 소비자의 총 만족도가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계효용은 총 효용의 변화량을 추가로 소비한 재화나 서비스의 수량으로 나눈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사과를 하나 먹었을 때의 총 효용이 10이고, 두 개 먹었을 때의 총 효용이 18이라면, 두 번째 사과를 먹었을 때의 한계효용은 (18-10)/1 = 8이다.
한계효용의 특징과 원리
한계효용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과 원리가 있다:
- 감소하는 한계효용: 같은 종류의 재화나 서비스를 계속해서 소비할수록 한계효용은 감소한다. 이는 소비자의 만족도가 점점 포화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과를 세 개 먹었을 때의 총 효용이 24라면, 세 번째 사과를 먹었을 때의 한계효용은 (24-18)/1 = 6이고, 이는 두 번째 사과를 먹었을 때의 한계효용보다 작다.
- 한계효용 균형: 소비자는 자신의 예산 제약 하에서 한계효용을 균등하게 만들어서 총 효용을 최대화하려고 한다. 이는 다른 재화나 서비스로 대체할 수 있는 경우에만 성립한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사과와 바나나를 구매할 수 있고, 각각의 가격이 1달러라고 하자. 소비자가 10달러를 가지고 있고, 사과와 바나나의 한계효용은 각각 8, 6, 4, …와 5, 4, 3, …로 감소한다고 하자. 이때, 소비자는 사과와 바나나를 각각 몇 개씩 구매할까? 만약 소비자가 사과만 10개 구매한다면, 마지막 사과의 한계효용은 0이고, 총 효용은 80이다. 반면에 소비자가 바나나만 10개 구매한다면, 마지막 바나나의 한계효용은 0이고, 총 효용은 50이다. 따라서 소비자는 사과와 바나나를 모두 구매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구매할까? 소비자는 사과와 바나나의 한계효용을 같게 만들어서 총 효용을 최대화하려고 할 것이다. 즉, 다음과 같은 식을 만족시키려고 할 것이다:
- 사과의 한계효용 / 사과의 가격 = 바나나의 한계효용 / 바나나의 가격
- 이 식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사과와 바나나를 각각 4개씩 구매하는 경우이다. 이때, 사과와 바나나의 한계효용은 각각 4이고, 총 효용은 80 + 50 - 8 = 122이다. 이는 사과만 구매하거나 바나나만 구매하는 경우보다 크다.
- 한계효용과 수요곡선: 한계효용은 소비자의 수요곡선을 형성하는 요인이다.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이 낮아지면, 소비자는 더 많이 구매하려고 할 것이다. 이는 가격이 낮아지면 한계효용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재화나 서비스를 줄이고 해당 재화나 서비스를 늘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과의 가격이 1달러에서 0.5달러로 떨어진다면, 소비자는 사과의 한계효용을 바나나의 한계효용과 같게 하기 위해 사과를 더 많이 구매하고 바나나를 덜 구매할 것이다. 따라서 사과의 수요곡선은 가격이 낮아질수록 수량이 증가하는 모양을 나타낼 것이다.
한계효용의 한계와 비판
한계효용은 경제학에서 소비자의 행동을 설명하는 유용한 개념이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와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 측정의 어려움: 한계효용은 추상적인 개념으로, 실제로 측정하기 어렵다. 소비자의 만족도는 주관적이고 변화하기 쉬운 것으로, 정확하게 수치화할 수 없다. 따라서 한계효용은 비교적 간단한 가정과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며, 현실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무차별성의 가정: 한계효용은 소비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무차별하게 소비한다고 가정한다. 즉, 소비자는 재화나 서비스의 품질, 유통기한, 브랜드, 환경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가격과 수량만으로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소비자가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선호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같은 가격의 사과라도 신선한 것과 상한 것을 구분하여 구매할 것이다.
- 무관심 곡선의 존재: 한계효용은 소비자가 다른 재화나 서비스로 대체할 수 있는 경우에만 성립한다고 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소비자가 어떤 재화나 서비스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반대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채식주의자는 고기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싫어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한계효용 균형을 적용할 수 없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상거래란 무엇인가? (0) | 2023.08.29 |
---|---|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 (0) | 2023.08.29 |
추심이란 무엇인가? (0) | 2023.08.29 |
규모의 경제란 무엇인가? (0) | 2023.08.29 |
기업공개(IPO)란 무엇인가? (0) | 202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