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용어

추심이란 무엇인가?

by Hangryguy 2023. 8. 29.
728x90
반응형
SMALL

추심이란 무엇인가?

 


추심이란,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부채를 갚도록 요구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채권자는 채무자에게 직접 연락하거나, 법적 절차를 통해 채권을 확보하거나, 전문적인 추심업체에 의뢰할 수 있습니다. 추심은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채무자의 책임을 강화하며, 시장의 신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추심의 종류와 방법


추심에는 크게 자발적 추심과 강제 추심이 있습니다. 자발적 추심은 채권자와 채무자가 상호 협의하여 부채를 청산하는 방식입니다. 강제 추심은 법원이나 행정기관이 개입하여 채무자의 재산을 압류하거나 가압류하는 방식입니다.

자발적 추심의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전화 추심: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전화를 걸어 부채를 상기시키고, 납부 기한과 방법을 알려주는 방식입니다. 전화 추심은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채무자와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문자 추심: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 부채를 상기시키고, 납부 기한과 방법을 알려주는 방식입니다. 문자 추심은 저렴하고 간편하며, 채무자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우편 추심: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우편물을 보내 부채를 상기시키고, 납부 기한과 방법을 알려주는 방식입니다. 우편 추심은 공식적이고 정확하며, 서면으로 남겨서 증거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방문 추심: 채권자가 채무자의 집이나 사업장을 방문하여 부채를 상기시키고, 납부 기한과 방법을 알려주는 방식입니다. 방문 추심은 신뢰도가 높고 강력하며, 채무자의 실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강제 추심의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소송 추심: 채권자가 법원에 소를 제기하여 채권을 인정받고, 판결문을 통해 채무자의 재산을 압류하거나 가압류하는 방식입니다. 소송 추심은 법적으로 확실하고 강력하며, 채권의 보전을 위해 긴급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공정증서 추심: 채권자가 채무자와의 부채 관계를 공증인에게 증명받고, 공증인이 발행한 공정증서를 통해 채무자의 재산을 압류하거나 가압류하는 방식입니다. 공정증서 추심은 절차가 간단하고 빠르며, 채권의 확정을 위해 사전에 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행정청구 추심: 채권자가 특별한 법률에 따라 행정기관에 청구서를 제출하고, 행정기관이 발행한 청구결정서를 통해 채무자의 재산을 압류하거나 가압류하는 방식입니다. 행정청구 추심은 비용이 저렴하고 효율적이며, 채권의 신속한 집행을 위해 특별한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추심의 윤리와 법률

 


추심은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활동이지만, 채무자의 인권과 존엄성을 침해하지 않아야 합니다.

추심은 다음과 같은 윤리적 원칙과 법률적 규제를 준수해야 합니다:

  • 공정하고 정당하게: 추심은 부당하거나 부도덕한 방법으로 이루어지지 않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거짓이나 과장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위협이나 폭력을 사용하거나,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 상황에 맞게: 추심은 적절한 시간과 장소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오전 8시부터 오후 9시 사이에만 연락할 수 있으며, 채무자의 직장이나 가족에게 무단으로 연락하는 것은 금지됩니다.
  • 합리적이고 타당하게: 추심은 실제로 청구할 수 있는 금액과 기간을 벗어나지 않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자나 수수료를 과도하게 부과하거나, 시효가 만료된 부채를 청구하는 것은 금지됩니다.
  • 친절하고 예의바르게: 추심은 채무자에게 인사말과 자기소개를 하고, 명확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고, 협력적인 태도로 대화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욕설이나 모욕적인 말을 하거나, 감정적으로 대응하거나, 일방적으로 의사소통을 끊는 것은 금지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  (0) 2023.08.29
한계효용이란 무엇인가?  (0) 2023.08.29
규모의 경제란 무엇인가?  (0) 2023.08.29
기업공개(IPO)란 무엇인가?  (0) 2023.08.28
탄소배출권이란 무엇인가?  (0) 2023.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