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용어

규모의 경제란 무엇인가?

by Hangryguy 2023. 8. 29.
728x90
반응형
SMALL

규모의 경제란 무엇인가?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란 기업이 생산량을 늘릴수록 단위당 생산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규모의 경제는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규모의 경제는 무한히 증가할 수 없으며,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규모의 비경제(diseconomies of scale)로 전환될 수 있다. 규모의 비경제란 기업이 생산량을 늘릴수록 단위당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규모의 비경제는 기업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저하시키고, 소비자에게 고품질과 혁신적인 제품을 제공하기 어렵게 한다.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고정비용의 분담: 고정비용은 생산량과 상관없이 발생하는 비용으로, 예를 들면 건물 임대료, 설비 유지비, 연구개발비 등이 있다. 기업이 생산량을 늘리면 고정비용을 더 많은 양의 제품에 나눠서 부담할 수 있으므로, 단위당 고정비용이 감소한다. 이는 평균 총 비용(average total cost)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
  • 분업과 전문화: 분업은 작업을 세분화하여 각각의 작업자나 부서에 할당하는 것이다. 전문화는 각각의 작업자나 부서가 자신의 역할에 맞는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개선하는 것이다. 기업이 생산량을 늘리면 분업과 전문화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과 질이 향상된다. 이는 평균 가변 비용(average variable cost)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
 
  • 구매력과 협상력: 구매력은 기업이 원자재나 부품 등을 구매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재정적 능력이다. 협상력은 기업이 원자재나 부품 등의 공급자와 가격이나 조건 등을 협상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영향력이다. 기업이 생산량을 늘리면 구매력과 협상력이 증가하므로, 원자재나 부품 등의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는 평균 가변 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
  • 기술적 진보: 기술적 진보는 기존의 생산 방식보다 더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생산 방식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기업이 생산량을 늘리면 기술적 진보에 투자할 수 있는 여력이 생기고, 기술적 진보의 효과를 더 많은 양의 제품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증가한다. 이는 평균 총 비용과 평균 가변 비용을 모두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



규모의 경제의 유형은 무엇인가?


규모의 경제는 발생하는 범위에 따라 내부 규모의 경제(internal economies of scale)와 외부 규모의 경제(external economies of scale)로 구분할 수 있다.

  • 내부 규모의 경제: 내부 규모의 경제란 기업 자체의 생산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발생하는 규모의 경제이다. 내부 규모의 경제는 기업의 고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기업의 자본 구조, 조직 구조, 생산 방식, 관리 체계 등이 있다. 내부 규모의 경제는 기업 간의 차별화 요인이 될 수 있다.
  • 외부 규모의 경제: 외부 규모의 경제란 기업이 속한 산업이나 지역의 발전에 따라 발생하는 규모의 경제이다. 외부 규모의 경제는 기업 외부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산업 집적, 인프라 구축, 정부 정책, 시장 환경 등이 있다. 외부 규모의 경제는 기업 간의 공통 요인이 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계효용이란 무엇인가?  (0) 2023.08.29
추심이란 무엇인가?  (0) 2023.08.29
기업공개(IPO)란 무엇인가?  (0) 2023.08.28
탄소배출권이란 무엇인가?  (0) 2023.08.28
낙수효과란 무엇인가?  (0) 2023.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