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용어

한계비용이란 무엇인가?

by Hangryguy 2023. 8. 30.
728x90
반응형
SMALL

한계비용이란 무엇인가?

 


한계비용이란 경제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추가적으로 생산하거나 소비하는 데 드는 비용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한계비용은 한 단위의 추가 행동에 드는 비용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합리적인 선택과 자원 할당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한계비용의 정의와 특징


한계비용은 생산 량을 한 단위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생산비의 증가분을 가리킵니다. 한계생산비라고도 합니다. 생산비는 설비비용 같은 고정 비용과 원자재, 임금 같은 가변비용으로 이루어지며, 전자는 생산량의 다소에 상관없이 일정량이 필요하고 후자는 생산량의 증감에 따라 변화합니다. 흔히 가변비용은 최초에는 급속하게 증가하나 얼마 후 대량생산의 이익을 반영하여 그 속도가 느려지고 어느 한도를 넘으면 다시 급속도로 증가합니다. 따라서, 한계생산비는 처음에는 생산량의 증대와 함께 감소되나 후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계비용은 기업가가 생산량을 결정할 때의 중요한 표준이 됩니다. 즉 한계 비용은 완전 경쟁 아래에서는 시장가격과 같다는 점, 불완전 경쟁 아래에서는 한계 수입과 같다는 점에서 기업가의 이윤 극대가 달성되는 것입니다. 미래학자 제러미 러프킨은 사물인터넷 등이 발달한 기술집약적인 환경에서는 한계비용이 제로에 가까운 사회가 탄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넷을 활용하여 공산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낮추고, 농업 분야에서도 유통구조의 개편이 이루어지면 생산 비용이 절감되어 삶의 질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한계비용과 수익의 관계와 의미

 


한계수익은 추가적으로 생산하거나 소비하는 데 얻을 수 있는 이익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한계수익은 한 단위의 추가 행동으로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이익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한 회사가 제품을 판매할 때, 추가로 판매하는 하나의 제품에 얻을 수 있는 수익은 한계수익입니다.

한계수익은 일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며, 추가 행동이나 생산의 규모가 커질수록한계수익은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제품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균형점에서 결정됩니다. 즉,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가격이 상승하고, 반대로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면 가격이 하락합니다.
  • 기업이 추가적으로 제품을 생산하면, 시장의 공급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시장의 균형점을 밀어내고, 가격을 낮추게 됩니다. 따라서, 기업이 추가로 판매하는 하나의 제품에 얻을 수 있는 수익은 감소하게 됩니다.
  • 또한, 기업이 추가적으로 제품을 생산하면, 한계비용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총비용을 증가시키고, 이익을 감소시킵니다. 따라서, 기업이 추가로 판매하는 하나의 제품에 얻을 수 있는 순수익은 더욱 감소하게 됩니다.


한계비용과 한계수익의 관계는 기업의 이윤 극대화를 위한 중요한 지표입니다. 기업은 한계비용과 한계수익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생산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이 지점에서는 기업의 총비용과 총수익이 최대화되고, 총이익도 최대화됩니다. 만약 기업이 이 지점보다 더 많은 생산량을 선택한다면, 한계비용이 한계수익보다 커지게 되고, 총비용이 총수익보다 커지게 되어 손실을 입게 됩니다. 반대로 기업이 이 지점보다 더 적은 생산량을 선택한다면, 한계수익이 한계비용보다 커지게 되고, 총수익이 총비용보다 커지게 되어 이익을 낭비하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펜재란 무엇인가?  (0) 2023.08.30
금전신탁이란 무엇인가?  (0) 2023.08.30
기축통화란 무엇인가?  (0) 2023.08.29
회사채란 무엇인가?  (0) 2023.08.29
SWIFT란 무엇인가?  (0) 2023.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