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용어

서킷 브레이커란 무엇인가?

by Hangryguy 2023. 9. 3.
728x90
반응형
SMALL

서킷 브레이커란 무엇인가

 


서킷 브레이커는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시장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단하는 제도입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금융위기나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지거나 뇌동매매를 하는 것을 방지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서킷 브레이커의 역사와 종류


서킷 브레이커는 1987년 10월 19일에 발생한 '블랙 먼데이’라고 불리는 주식시장의 대량 폭락 이후에 미국에서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이날 다우존스 산업 평균지수는 하루에 걸쳐 약 23% 가량 급락하였습니다. 이후에도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 등 여러 번의 경제적 충격으로 인해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주로 주가 지수가 특정 비율만큼 하락할 경우에 발동되며, 일반적으로 3단계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S&P 500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7%, 13%, 20% 이상 하락할 경우 각각 15분, 15분, 장마감까지 거래를 중단합니다. 한국의 경우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8%, 15%, 20% 이상 하락할 경우 각각 20분, 20분, 장마감까지 거래를 중단합니다.



서킷 브레이커의 장단점

 


서킷 브레이커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의 과열과 과잉 반응을 방지하고, 투자자들에게 시간적 여유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시장의 신뢰도와 효율성을 높이고,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증진시킵니다.
  • 시장의 규모와 깊이를 확대하고, 국제금융시장과의 연계성을 강화합니다.


서킷 브레이커의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의 자율성과 유동성을 저해하고, 거래 중단으로 인한 정보 비대칭과 가격 왜곡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거래 재개 후에도 시장의 변동성이 증가하고, 추가적인 판매 압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시장 참여자들의 행동을 예측하기 어렵게 하고, 서킷 브레이커 자체가 시장 충격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주식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서킷 브레이커가 시장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서킷 브레이커의 발동 조건과 효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습니다. 따라서 서킷 브레이커의 장단점을 잘 파악하고, 시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운영되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크본드란 무엇인가?  (0) 2023.09.04
와타나베 부인이란 무엇인가?  (0) 2023.09.03
황금낙하산이란 무엇인가?  (0) 2023.09.03
방카슈랑스란 무엇인가?  (0) 2023.09.03
장외시장이란 무엇인가?  (0) 2023.09.03